우분투에서 Samba로 네트워크 공유 파일 서버 설정하는 방법 (2025 최신 가이드)

🔍 요약

우분투(Ubuntu) 환경에서 Windows 및 Linux 간 파일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 공유 서버를 만드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Samba 서버를 사용하는 것입니다. 이 가이드는 Samba 설치부터 공유 폴더 설정, 클라이언트 접속, 보안 팁까지 실무 중심으로 단계별 정리한 최신 매뉴얼입니다.


    🧰 1. Samba 설치

    sudo apt update
    sudo apt install samba -y

    📁 2. 공유할 디렉토리 생성

    sudo mkdir -p /srv/shared
    sudo chmod 777 /srv/shared

    🔒 필요 시 사용자 전용 권한 설정 가능 (chmod 대신 chown 사용)


    ⚙️ 3. Samba 설정 파일 수정

    설정 파일 열기:

    sudo nano /etc/samba/smb.conf

    맨 아래에 다음 내용 추가:

    [SharedFolder]
    path = /srv/shared
    browseable = yes
    writable = yes
    guest ok = yes
    read only = no
    create mask = 0777
    directory mask = 0777

    guest ok = yes 설정 시 로그인 없이 접근 가능
    ⚠️ 보안상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 권장


    👤 4. Samba 사용자 추가 (옵션 – 로그인 방식)

    sudo adduser 공유용유저
    sudo smbpasswd -a 공유용유저

    smb.conf 설정에서 guest ok = no로 바꾸고 다음 추가:

    valid users = 공유용유저

    🔄 5. Samba 서비스 재시작

    sudo systemctl restart smbd

    🔥 6. UFW 방화벽 허용

    sudo ufw allow 'Samba'

    💻 7. 클라이언트에서 Samba 공유 접속

    • Windows 탐색기: \\서버IP\SharedFolder
    • Linux CLI: smbclient //서버IP/SharedFolder -U 사용자명
    • Linux GUI 파일 탐색기: smb://서버IP/SharedFolder

    🔁 8. 자동 마운트 설정 (Linux 클라이언트에서)

    /etc/fstab에 다음 항목 추가:

    • 게스트 접속: //서버IP/SharedFolder /mnt/shared cifs guest,uid=1000,iocharset=utf8 0 0
    • 사용자 인증 접속: //서버IP/SharedFolder /mnt/shared cifs username=사용자,password=비밀번호,uid=1000,iocharset=utf8 0 0

    📁 /mnt/shared 디렉토리는 미리 만들어야 함

    sudo mkdir -p /mnt/shared

    🔐 보안 팁

    • 외부 네트워크에서는 Samba 공유 비활성화
    • 인증 방식 사용 시:
      • guest ok = no
      • valid users 설정 필수
    • /srv/shared불필요한 쓰기 권한 부여 주의

    📎 결론

    Ubuntu에서 Samba를 사용해 Windows 및 Linux 간 완전한 네트워크 파일 공유 환경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.
    보안 설정과 사용자 권한만 잘 설정하면 NAS 대체용 파일 서버로도 충분합니다.

    Comments

    Leave a Reply

   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. Required fields are marked *